#끈기프로젝트_독서

삶의 무기가 되는 쓸모 있는 경제학 | 23.10.23

alpha 행복 일기 2023. 10. 23. 19:29

#삶의무기가되는쓸모있는경제학 | 이완배

쓸모 있는 경제학
《동아일보》 사회부·경제부 기자 등을 거쳐 현재 《민중의 소리》에서 경제 담당 기자로 활동하는 이완배 기자가 경제학 분야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끌고 있는 행동경제학 분야에 대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미있고 위트 있게 풀어 쓴 『쓸모 있는 경제학』. 저자는 심리학, 사회학 등을 바탕으로 주류 경제학이 생각하는 ‘인간은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존재’라는 고정관념을 산산이 깨부순다. 인간은 온전히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 가끔은 비합리적이고 감정적이며, 때로는 어리석은 선택을 하고, 때로는 바보 같은 행동도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완벽하지 않은 사람들이 모여 행복하게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이기심을 기반으로 한 경제학이 아닌, 협동을 전제로 경제학이라고 주장하면서 인간의 이성이나 합리적인 판단보다 심리와 감성이 실질적으로 경제를 움직인다는 행동경제학에 기초하여 재미있는 심리 게임과 이론, 주장을 담았다. 인간은 연대하고 협동하는 존재라는 따뜻한 경제학을 바탕으로, 우리는 서로 믿고 사는 행복한 인간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깨달음을 전한다.
저자
이완배
출판
북트리거
출판일
2019.04.05
진리는 혼자 해 봐서 나온 결과에서 도출되지 않는다. 괜히 자기의 경험만 믿고 고집 피우지 말고, 중요한 결정을 하기 전에는 수천수만 명의 경험을 모아 그 속에서 진리를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책을 통한 간접 경험을 많이 하자.
다양한 책을 읽어서 교양의 지평을 넓혀야 한다.
모든 직ㆍ간접 경험이 도움이 되지만
그래도 결국에는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해야 한다.
나의 작은 경험을 과대 평가하는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자.”

마시멜로 테스트는 결국 ‘잘 인내하면 성공한다’ 혹은 ‘인내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을 하면 성공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기존의 마시멜로 테스트와 달리 아이들의 성공 여부는 네 살 때 이들이 보여 준 만족지연 능력과 아무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사회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노력이고, 인내고, 만족지연이고 다 필요 없고, 그냥 부모를 잘 만나야 한다는 이야기다.

“노력보다 더 결정적인 성공 요인이
부모의 경제력이라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인생은 내가 스스로 만든다.
책으로 내공을 쌓아 성공 확률을 높인다.”

#day23
#끈기프로젝트_독서편
#100일프로젝트
#책읽는대한민국

#오늘의시작이곧내일의기적입니다 :)
#알파성장일기
@alpha.growth.diary

“BE MYSELF, LOVE MYSELF!”